목록컴퓨터네트워크 (11)
철학과 학생의 개발자 도전기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계층 IP 주소를 부여해 네트워크 호스트의 논리 주소를 지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 경로를 선택 (라우팅) IP (Internet Protocol) 데이터 단위: 데이터 그램 비신뢰성: 목적지에 성공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음 비연결형: 전달되는 데이터그램에 대한 상태정보를 유지하지 않음 주소를 지정 경로를 설정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 신뢰성이 없는 IP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오류를 보고 받음 Ping 네트워크 소통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 패킷이 올바르게 도착하여 응답이 발생하는지 확인 Traceroute 네트워크 경로를 조사하기 ..

UDP (User Datagram Protocl)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신뢰성이 낮지만 빠른 데이터 전송 가능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패킷 전송 특징 송신부와 수신부의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 비연결형 서비스 패킷이 서로 다른 회선으로 교환될 수 있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전달한 패킷 순서와 전달받은 패킷 순서가 다를 수 있음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음 오류 검출 최소한의 신뢰성은 보장 체크섬 방식으로 오류 검출 송신부가 헤더와 바디 데이터를 이용해 체크섬 값을 만들어서 함께 전송 수신부는 모든 값을 더해서 전부 1이 나오는지 확인 1만 나오면 정상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완전한 오류 검출은 어려움 UDP header 속도를 위해 간결한 헤더 지님 출발지와 목적지, 길이, 체크섬 등 QUIC..

OSI 7 계층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눔 캡슐화: 송신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아래 계층으로 내려가며 제어 정보를 추가하는 작업 역캡슐화: 수신부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위 계층으로 올라가며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작업 1계층 - 물리 계층 장비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전송하거나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 데이터는 비트 단위로 전송 (0, 1) 장비: 리피터, 허브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수행 MAC 주소를 부여해 물리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줌 장비 : 브리지, 스위치, 이더넷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 경로를 선택 (라우팅) IP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