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학생의 개발자 도전기
[Spring] 스프링 부트와 AWS 스터디 - 2.5주차 본문
06장 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EC2
EC2 인스턴스 생성
AWS EC2에 접속해서 인스턴스 생성을 시작한다.
여러가지 설정을 마치고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생성이 완료된다.
고정 IP 할당
EC2 인스턴스에는 IP가 할당되어있는데 인스턴스를 재시작하면 새로운 IP가 할당된다.
재시작할 때마다 IP가 바뀌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EIP(탄력적 IP)를 생성해서 변하지 않도록 한다.
EC2 서버에 접속하기
AWS에서 제공하는 브라우저 기반 SSH 연결을 사용하면 편하게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제 Java8을 설치하고 타임존을 변경하고 Hostname을 변경하는 등 간단한 설정 등을 마치면 준비는 끝이다.
07장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RDS 생성
아마존 RDS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실습에서는 MariaDB를 활용한다.
MariaDB는 동일 하드웨어 사양으로 MySQL보다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고 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몇 분 정도 기다리면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파라미터 설정하기
RDS를 생성한 뒤 타임존, Character Set, Max Connection 설정을 해야한다.
생성된 파라미터 그룹을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한다.
내 PC에서 RDS에 접속해 보기
RDS보안그룹에 EC2 보안그룹과 내 IP를 추가한다. 그리고 RDS의 엔드포인트를 확인하고 인텔리제이에서 DB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연결 성공!
EC2에서 RDS로 접근 확인
이제 EC2에서 RDS로 접근해보자.
접속은 잘 되지만 아직 DB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다른 스터디원들과 공유해봐야겠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0) | 2023.05.03 |
---|---|
[Spring] 스프링부트와 AWS 스터디 - 3주차 (1) | 2023.01.03 |
[Spring] 스프링 부트와 AWS 스터디 - 2주차 (0) | 2022.12.02 |
[Spring] 스프링 부트와 AWS 스터디 - 1주차 (0) | 2022.11.19 |
[Spring] 스프링 입문 - 후기 (0) | 2022.11.05 |